레드햇리눅스 (3)

우선 다음과 같이 ip link 명령을 통해 네트워크 설정을 할 대상 인터페이스명을 확인한다.

1
2
3
4
5
[root@localhost ~]# ip link
1: lo: <LOOPBACK,UP,LOWER_UP> mtu 65536 qdisc noqueue state UNKNOWN mode DEFAULT qlen 1
    link/loopback 00:00:00:00:00:00 brd 00:00:00:00:00:00
2: ens192: <BROADCAST,MULTICAST,UP,LOWER_UP> mtu 1500 qdisc pfifo_fast state UP mode DEFAULT qlen 1000
    link/ether 00:0c:29:f3:94:f3 brd ff:ff:ff:ff:ff:ff
cs


위와 같이 확인된 ens192라는 인터페이스(랜포트)에 네트워크 설정을 해보겠다.



1. 설정파일 확인

/etc/sysconfig/network-scripts 경로에 보면 위에서 확인된 ens192와 관련된 설정파일인 ifcfg-ens192 파일을 찾을 수 있다.

1
2
[root@localhost ~]# ls -al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192 
-rw-r--r--1 root root 203 Apr  6 10:59 /etc/sysconfig/network-scripts/ifcfg-ens192
cs



2. 설정파일 수정

1
2
3
4
5
6
7
8
9
TYPE=Ethernet
BOOTPROTO=none
DEFROUTE=yes
DEVICE=ens192
ONBOOT=yes
IPADDR=192.168.20.10
NETMASK=255.255.255.0
GATEWAY=192.168.20.1
DNS1=168.126.63.1
cs

해당 설정파일의 내용이 기본값으로 이미 작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

필요 없는 항목들은 삭제하고 위 내용 정도로만 작성해도 충분하다.

각 설정항목의 이름은 대문자로 작성되어야 하며, 항목의 값은 대/소문자를 구분하니 유의해야 한다.



3. 설정항목의 의미와 설정될 수 있는 값

3-1. TYPE

1
TYPE=Ethernet
cs

해당 인터페이스의 유형을 지정할 수 있는 항목이며 설정될 수 있는 값은 Ethernet, Wireless, Bridge, Bond 등이 있다.

일반적인 유선 LAN 인터페이스에서는 Ethernet으로 설정하면 된다.


3-2. BOOTPROTO

1
BOOTPROTO=none
cs

해당 인터페이스가 활성화 될 때 어떤 프로토콜을 사용해서 네트워크 정보를 얻을 것인지 지정할 수 있는 항목이며 설정될 수 있는 값는 none, bootp, dhcp가 있다.

none으로 설정하면 해당 인터페이스가 활성화 될 때 아무런 프로토콜도 사용하지 않으며, 그렇기 때문에 사용자가 정적(static)으로 구성한 정보만 참조하게 된다. 흔히 none 대신 static으로 지정하는 경우가 많은데 RHEL/CentOS 계열에서는 static이라는 값은 존재하지 않는 값이다. BOOTPROTO 항목의 기본값이 none이기 때문에 static이라고 입력된 값이 무시되고 그냥 none으로 적용되는 것 뿐이다.

bootp는 dhcp와 흡사한 기능을 했던, 지금은 거의 사용되지 않는 프로토콜이다.

dhcp로 설정하면 해당 인터페이스가 활성화 될 때 dhcp 서버로 부터 네트워크 정보를 가져와서 적용하게 된다.


3-3. DEFROUTE

1
DEFROUTE=yes
cs

해당 인터페이스가 기본 라우팅 경로로 사용될 것인가를 지정할 수 있는 항목이며 기본값은 yes이다.

기본값이 yes인 탓에 인터페이스가 여러 개이고, 각각의 인터페이스마다 라우팅 정보가 설정되어 있을 경우 가장 마지막 순번의 인터페이스가 기본 라우팅 경로로 지정되어 버린다. 그렇기 때문에 인터페이스가 여러 개일 경우 특정 인터페이스만 기본 라우팅 경로로 사용하고 싶다면 해당 인터페이스에만 DEFROUTE=yes로 설정하고, 나머지 인터페이스에는 DEFROUTE=no로 설정해야 한다.

인터페이서의 순번은 ip link 명령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가장 맨 앞 열이 인터페이스 순번을 나타낸다.


3-4. DEVICE

1
DEVICE=ens192
cs

해당 인터페이스의 디바이스명을 지정할 수 있는 항목이며 일반적으로 ip link 명령으로 확인된 인터페이스명을 그대로 설정하면 된다.


3-5. ONBOOT

1
ONBOOT=yes
cs

시스템이 부팅될 때 해당 인터페이스를 활성화할 것인지를 지정할 수 있는 항목이다.

기본값은 no이기 때문에 ONBOOT=yes로 설정하지 않으면 시스템이 부팅될 때, 또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시작할 때 해당 인터페이스가 활성화되지 않는다.


3-6. IPADDR

1
IPADDR=192.168.20.10
cs

해당 인터페이스에 정적으로 IP 주소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IP 주소가 필요없을 경우(bootp, dhcp, 그 밖에) 해당 항목을 삭제하면 된다.


3-7. NETMASK

1
NETMASK=255.255.255.0
cs

해당 인터페이스에 정적으로 네트워크마스크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필요없을 경우 해당 항목을 삭제하면 된다.


3-8. GATEWAY

1
GATEWAY=192.168.20.1
cs

해당 인터페이스에 정적으로 게이트웨이 주소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필요없을 경우 해당 항목을 삭제하면 된다.


3-9. DNS1

1
DNS1=168.126.63.1
cs

해당 인터페이스에 정적으로 DNS 주소를 설정하는 항목이다.

DNS 주소를 여러 개 설정해야 할 경우 DNS2, DNS3, DNS4 식으로 추가하면 된다.

필요없을 경우 해당 항목을 삭제하면 된다.



4. 위와 같이 설정파일을 수정한 후에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재시작하거나 시스템을 재부팅해야 변경된 설정이 적용된다.

4-1. 네트워크 서비스 재시작으로 적용

1
[root@localhost ~]# service network restart
cs


4-2. 시스템 재부팅으로 적용

1
[root@localhost ~]# reboot
cs






호스트명을 확인하고 변경하는 방법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

명령어를 사용하는 방법과 /etc/hostname 파일을 직접 조회 및 수정하는 방법.



1. 호스트명 확인

1-1. hostname 명령 사용

1
2
[root@localhost ~]# hostname
localhost.localdomain
cs


1-2. /etc/hostname 파일 조회

1
2
[root@localhost ~]# cat /etc/hostname
localhost.localdomain
cs



2. 호스트명 변경

2-1. hostnamectl 명령 사용

1
[root@localhost ~]# hostnamectl set-hostname e-cloudlab.com
cs

→ 현재 세션(쉘)을 종료하고 재접속하면 바뀌어 있다.


2-2. /etc/hostname 파일 수정

1
2
[root@localhost ~]# vi /etc/hostname
e-cloudlab.com
cs

→ 위와 같이 변경하고 저장한 후 시스템을 재부팅해야 적용된다.



3. 호스트명 변경 후 추가 작업(권장)

3-1. /etc/hosts 파일 확인

1
2
3
[root@localhost ~]# vi /etc/hosts
127.0.0.1    localhost localhost.localdomain
::1            localhost localhost.localdomain
cs


3-2. 다음과 같이 변경된 호스트명 입력하고 저장

1
2
127.0.0.1    localhost e-cloudlab.com
::1            localhost e-cloudlab.com
cs






Red Hat Enterprise Linux(RHEL) 7.x Minimal 설치는 이전에 포스팅 했던 CentOS 7.x Minimal 설치 방법과 거의 동일하다.

설치 과정에 대한 보다 자세한 내용은 다음 글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전글 참조 : 2018/03/17 - [Linux/RHEL/CentOS] - [설치] CentOS 7.x Minimal 설치(Legacy Bios)

 

 

1. RHEL 7.x 설치 이미지(iso)를 다운로드 받는다.

두 가지 방법이 있다. 첫째는 온·오프라인 상에서 RHEL패키지를 구매하는 방법, 두번째는 레드햇 홈페지를 통해 다운로드 받는 방법이다.

레드햇 홈페이지 가입 후 평가판 요청을 하면 30일 동안 평가판을 다운로드 받을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다. 평가판이라고는 하지만 정품과 동일한 기능을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스터디에는 불편함이 없을 것이라 생각된다.

 

 

2. 다운로드 받은 이미지를 DVD 미디어로 레코딩한다.
또는, 설치 대상인 PC나 서버가 가상드라이브를 지원한다면(iLO/iDRAC 등) USB메모리 등을 이용하여 마운트한다.

RHEL은 CentOS와 다르게 별도로 Minimal 버전의 이미지를 제공하지 않는다. 기본적으로 풀패키지 버전의 이미지를 제공하며 설치 과정 중에 Minimal 설치를 하도록 선택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그 용량이 약 3.8GB나 된다. 그렇기 때문에 공DVD에 레코딩해야 한다.

 

 

3. PC 또는 서버의 전원을 켜고 위에서 제작된 미디어를 삽입하거나 가상드라이브로 마운트한다.

이후 PC 또는 서버의 Bios 설정에서 부팅 순서를 CD-ROM이나 DVD로 우선 부팅이 되도록 설정한다.

PC나 서버 제조사에 따른 부팅 순서 변경 방법은 제조사 메뉴얼, 홈페이지 가이드, 구글 등의 검색을 통해 쉽게 찾아볼 수 있다.

 

 

4. 위 과정까지 정상적으로 진행되었다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5. 위 화면에서 제작된 미디어나 가상드라이브로 마운트된 이미지의 결함 여부를 확인하고 싶다면 "Test this media & install Red Hat Enterprise Linux 7.4" 메뉴를 선택하고, 확인이 필요 없다면 "Install Red Hat Enterprise Linux 7.4" 메뉴를 선택하여 CentOS 설치 화면으로 진입한다.

 

 

6. 잠시 기다리면 다음과 같은 화면을 볼 수 있으며...

 

 

7. 다음과 같이 설치 화면에 진입하게 된다.

 

 

8. 위 화면에서 영문 GUI로 설치를 계속 진행하려면 그냥 오른쪽 아래 "Continue" 버튼을 클릭하면 되고, 한글 GUI로 설치를 진행하려면 메뉴에서 한국어를 선택한 후 "Continue" 버튼을 클릭하면 된다. "Continue" 버튼이나 앞으로 나오게 될 "Done" 버튼의 단축키는 F12 키이다.

 

 

9. 다음과 같이 "INSTALL SUMMARY" 화면을 볼 수 있을 것이다.

 

 

10. 다음과 같이 "DATE & TIME" 항목을 클릭하여 나오는 화면에서 시간대와 시각을 설정한다.

 

 

11. "INSTALL SUMMARY" 화면으로 돌아와서 중간에 위치한 "SOFTWARE SELECTION" 항목을 클릭하여 패키지 설치 유형을 선택한다.

 

 

12. 다음과 같은 화면에서 "Minimal Install" 항목을 체크한다.

 

13. "INSTALL SUMMARY" 화면으로 돌아와서 조금 아래에 위치한 "INSTALLATION DESTINATION" 항목을 클릭하여 디스크 파티션을 설정한다.

 

 

14. 다음과 같은 화면에서 CentOS를 설치할 대상 디스크를 선택할 수 있으며, 파티셔닝 방법을 선택할 수 있다.

필자는 "I will configure partitioning"을 선택하여 수동으로 직접 파티셔닝을 진행하였다.

 

 

15. 다음과 같은 화면에서 볼륨 유형을 "Standard Partition"으로 선택하고 "Click here to create them automatically." 항목을 클릭한다.

 

 

16. 다음 화면과 같이 총 20GB의 디스크를 "/boot"는 약 1GB(1024MiB), "swap"은 약 2GB(2048MiB), "/"는 나머지 용량인 약 17GB로 적절하게 배분된 파티션이 자동으로 생성되었다.

필요에 따라서 필요 없는 파티션을 삭제하거나, 파티션의 용량을 조절하거나, 파티션에 사용될 파일시스템 종류를 변경할 수 있다.

 

 

17. 단, "swap" 파티션의 경우 파일시스템의 종류가 반드시 "swap"으로 선택되어야 한다.

 

 

18. 파티션 구성이 완료되었다면 왼쪽 위에 "Done" 버튼을 클릭한다.

다음 화면과 같이 파티셔닝 작업한 내용을 보여주며 최종적으로 승인할 것인지 물어보는 창이 나온다. "Accept Changes" 버튼을 클릭하여 파티셔닝을 완료한다.

 

 

19. 다시 "INSTALL SUMMARY" 화면으로 돌아와서 "SECURITY POLICY" 항목을 클릭한다.

 

 

20. CentOS가 설치된 후 적용될 보안설정(방화벽)을 선택하는 화면이다.

필자는 나중에 firewalld나 iptables 설정을 통해 보안설정을 할 생각으로 "Apply security policy" 항목의 "ON" 버튼을 클릭하여 "OFF"로 변경해 주었다.

 

 

21. 필요한 모든 설정이 끝났으니 "Begin Installation" 버튼을 클릭하여 본격적인 패키지 설치 화면으로 넘어가도록 한다.

 

 

22. 다음 화면과 같이 Minimal 기준의 패키지들이 설치되기 시작한다.

패키지 설치중에 "root" 계정의 패스워드를 설정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그 밖에 계정들을 미리 생성하고 패스워드를 설정할 수 있다.

"root" 계정은 리눅스 계열에서 사용되는 "Administrator(최고 관리자)" 계정이다.

"root" 계정의 경우 이 화면에서 패스워드를 설정하지 않을 경우 설치과정이 완료되지 않으므로 반드시 설정해 주도록 한다.

 

 

23. "ROOT PASSWORD" 항목을 클릭하면 다음과 같이 패스워드를 설정하는 화면이 나온다.

 

 

24. 그 밖에 계정을 미리 생성하려면 "USER CREATION" 항목을 클릭한다.

 

25. 생성될 계정의 "Full name", "User name", "Password"를 입력한다.

"Make this user administrator" 항목을 체크하게 되면 해당 계정이 sudo 등의 명령으로 "root" 권한을 획득할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다.

 

 

26. 패키지 설치가 완료되었다면 왼쪽 아래 "Reboot", 또는 "Finish configuration" 버튼이 활성화 된다.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설치 미디어나 가상드라이브가 자동으로 마운트 해제되고 PC나 서버가 재부팅된다.

 

 

27. 다음 화면과 같이 Red Hat Enterprise Linux Server 부팅 메뉴가 활성화 되고 잠시 기다리면...

 

 

28. 다음 화면과 같이 CentOS 로그인 프롬프트 화면이 나온다.

 

 

29. 설치 과정 중 설정한 "root" 계정 정보로 로그인해 본다.

 

 

RHEL 7.x Minimal 설치가 완료되었다.